
대한(大寒)의 시기 대한은, 봄을 알리는 입춘으로 시작하는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절기입니다. 큰 추위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죠.
음력으로는 마지막 달인 섣달에 있어 매듭을 짓는 절후이죠. 오해할 수도 있지만, 24절기는 음력이 아니라, 양력 날짜를 기준으로 합니다.
태양이 황경 300도 위치에 있을 때가 대한이고, 양력 1월 20일 무렵이죠. 보통은 양력 1월 20일 또는 1월 21일에 대한이 옵니다.
대한 끝에 양춘이 있다.라는 속담도 있습니다. 양춘은 정월, 즉 음력 1월을 의미하는 말인데, 대한이 끝나면 새로운 절기, 봄이 온다는 의미로, 계절의 질서를 통해 고진감래나 고생 끝에 낙이 온다라는 의미를 지닌 속담이기도 합니다.
대한민국에서 대한은 가장 춥지 않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대한보다 소한이 더 추운 편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소한이 대한보다 더 추운 것을 나타내는 속담들이 만들어져있죠.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겨울절기
#큰추위절기
#큰추위
#추운절기
#절분
#소한보다따뜻한대한
#마지막절기
#대한절기
#대한이가장추운지역
#대한의미
#대한뜻
#대한날짜
#대한
#해넘이
원문링크 : 대한 1월 20일 또는 21일 24절기의 마지막 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