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마 민주 항쟁 부마 민주 항쟁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부산, 경상남도 마산시(현 창원시)에서 유신 체제에 대항하는 시위를 말해요. 부마 민주화 운동, 부마항쟁, 부마사태라고도 합니다.
발생한 지역을 따와서 부산광역시의 부와 경상남도 마산시의 마를 따서 부마 민주 항쟁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부마 민주 항쟁의 배경 부마 민주 항쟁은 어떻게 발생하게 됐을까요?
1972년 10월 17일, 당시 대통령 박정희가 계엄, 국회해산, 헌법 정지 등을 담고 있는 유신 헌법을 발효하고, 이 기간을 유신 체제라고 합니다. 유신 체제는 행정과 입법, 사법의 3권을 모두 대통령이 쥐고, 횟수 제한 없이 연임할 수 있는 종신 집권 1인 대통령제였어요.
실질적으로는 2023년 현재 이어진 북한 정권과 다를 바가 없는 체제인 것이죠. 유신 체제에서의 독재가 시작되자,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저항하기 시작했어요. 1979. 10. 16.
부마 민주항쟁 1979...
#1016운동
#유신정권
#위수령
#부산대학교
#부마항쟁
#부마의거
#부마사태
#부마민중항쟁
#부마민중봉기
#부마민주화운동
#부마민주항쟁
#박정희
#마산시
#군사재판
#계엄령
#釜馬民主抗爭
#10월16일
#유신체제시위
원문링크 : 부마민주항쟁 기념일 10월 16일 부마항쟁을 기념하는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