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암세포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성공


원자력연, 암세포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성공

향후 폐암, 간암 등 다양한 암세포 주 이용 전임상시험 추진 체렌코프 효과는 1958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러시아의 과학자 체렌코프 박사가 발견한 현상으로, 전기적 성질을 가진 입자가 물속을 빛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를 운동할 때 빛이나 X선을 방출하는 효과이다. 원자로 수조가 푸른 빛을 내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 첨단방사선연구소(소장 정병엽)는 방사성동위원소 지르코늄-89(Zr-89)에서 발생하는 체렌코프 효과를 이용해 암 사멸 나노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체렌코프 효과로 나노입자에서 활성산소가 발생해 나노물질 주변 암세포가 사멸된다.

나노물질에서 방출되는 지르코늄-89의 방사선은 투과되어 진단 영상에 쓰인다. 우측 상단의 큰 나노물질은 구조를 보여주기 .....


원문링크 : 원자력연, 암세포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