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치매 머니' 154조원…'2천400조' 일본 대책은?


국내 '치매 머니' 154조원…'2천400조' 일본 대책은?

日, 2006년 이미 '초고령사회' 진입…고령자 3.6명 중 1명 '치매·경도인지장애' 후견·신탁 활성화, 기술혁신 '자산피해' 방지…"건강할 때 자산계획 세우는 문화 정착돼야" 중증 치매환자 전담병원, 서울 서북병원서 개원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4일 서울 지역 첫 치매안심병원으로 지정된 은평구 서북병원에서 한 어르신이 재활운동을 하고 있다. 2024.4.4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 = 정부가 첫 '치매 머니'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대책 마련에 나선 가운데 전문가들은 앞서 이 문제를 겪은 일본의 사례를 참고해 후견·신탁 제도를 보완하고 자산 보호를 위한 기술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치매 머니는 고령 치매 환자들이 보유한 동결 자산을 말한다.

이 문제는 이미 지난 200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에서 먼저 대두됐다.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일본의 치매 노인은 443만명,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MC...



원문링크 : 국내 '치매 머니' 154조원…'2천400조' 일본 대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