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주식 저평가)는 성장 동력이 떨어지는 기업들이 주를 이루는 국내 경제 구조에서 비롯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양철원 단국대 교수, 왕수봉 아주대 교수, 최재원 서울대 교수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논문 '무엇이 과연 코리아 디스카운트와 주가순자산비율(PBR)을 설명하는가'를 오는 28일 한국증권학회 학술발표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이 논문은 한국 기업의 낮은 PBR을 주주환원 정책, 지배구조(거버넌스), 성장 잠재 동력 중 어떠한 요소가 가장 잘 설명하는지 연구한 결과를 담았다.
연구에 따르면 소극적 주주환원, 후진적인 지배구조보다 성장 잠재력이 떨어지는 기업이 많다는 점이 낮은 PBR로 이어졌다. 연구진은 "자본투자 규모가 크고 투자성과가 좋은 기업일수록 PBR이 높았다"며 "투자 종류로 나누면 유형자산보다는, 무형자산 투자가 활발한 기업이 높은 PBR에 더 기여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기업의 PBR이 낮...
#국내증시
#밸류업프로그램
#분산투자
#장기투자
#저pbr주
#주식투자
#코리아디스카운트원인
#코스피
원문링크 : "코리아 디스카운트 진짜 원인은 성장기업 부재 구조 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