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구증가와 한계에 도달한 식량자원


세계인구증가와 한계에 도달한 식량자원

10여년 전부터 정체된 세계 곡물 생산량 지속 가능한 식량시스템 구축이 절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남부 40여km에 있는 광활한 평야에서 파종된 밀이 자라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비옥한 토지를 이용해 밀과 옥수수를 생산하는 세계 5대 곡창지대다.

사진=연합뉴스 세계인구의 지속적 증가와 함께 식량자원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유엔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인구는 2050년까지 약 97억명, 2100년에는 110억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인구증가는 식량부족 사태를 유발 시킨다. 이에 따라 급격한 인구증가와 함께 환경을 해치지 않고 인류를 먹여 살릴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방법을 찾는 것이 급선무다.

농업혁명이 가져온 풍요로운 삶 인류는 1960년대 농업혁명 이후 가장 풍요로운 시대를 살아왔다. 1천년 전 지구 인구는 3~4억명 정도에 불과했다. 16세기 신대륙발견으로 인한 새로운 작물이 도입되고, 1913년 BASF사(社)의 화학자 <카를보슈>에 의해 산업적 암모니아 생산이 성공하면...


#가뭄 #탄소중립 #지구온난화 #인구증가 #식량위기 #사막화 #기후위기 #기상이변 #고령화 #폭염

원문링크 : 세계인구증가와 한계에 도달한 식량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