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생물보안법 'K바이오'엔 기회…中 대신 글로벌 파트너 꿰찬다


美생물보안법 'K바이오'엔 기회…中 대신 글로벌 파트너 꿰찬다

CDMO부터 의약품 원료까지 글로벌 제약사 공급사 대체할 듯 생물보안법이 발효되면 중국 바이오 기업과 경쟁 구도에 있는 한국 기업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하원에서 생물보안법 통과로 직접적 수혜가 기대되는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등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회사와 에스티팜 등 원료의약품 기업이다. 생물보안법 제재 대상에는 우시바이오로직스가 포함됐다.

품질, 수익성 등으로 무장한 우시바이오로직스는 아시아 대표 CDMO 회사 중 하나다. 지난해 매출 170억위안(약 3조2000억원)을 올렸다.

이 중 47%(약 80억위안)는 북미 지역에서 벌어들였다. 미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회원사 가운데 79%가 우시 등 중국 CDMO에 의존한다.

업계에서는 국내 CDMO 기업을 우시의 빈자리를 메울 유력 후보로 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롯데바이오직스 등이 공장 신증설 등으로 생산 능력을 키우고 있는 만큼 우시와 계약이 끊긴 물량을 수...


#cdmo관련주 #k바이오 #미국생물보안법 #미국제약바이오 #바이오시밀러

원문링크 : 美생물보안법 'K바이오'엔 기회…中 대신 글로벌 파트너 꿰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