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어 장수 문순득 표류기


홍어 장수 문순득 표류기

홍어 장수 문순득 표류기 문순득(1777년~1847년)은 조선의 어물 장수였으며 지금의 전라남도 신안군 일대에서 활동하였습니다. 평범한 삶을 살던 그가 조선왕조실록에 이름 석 자를 남긴 이유는 그가 표류하면서 벌어진 파란만장한 여정 때문이었습니다. 1801년 12월, 24살의 청년이었던 문순득은 흑산도 인근에서 홍어를 사고 배를 타고 돌아오는 길에 거친 풍랑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문순득이 탄 배는 망망대해를 2주일이나 속절없이 표류하고 낯선 섬에 도착했습니다. 류큐 왕국의 '대도(大島)'라는 곳이었는데 지금의 일본 오키나와였습니다.

다행히 현지인들은 표류자들을 잘 보살펴 주었고 그곳에서 문순득은 8개월을 머물면서 그 나라 말과 풍습을 배우면서 빠르게 적응했습니다. 그리고 조선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알아냈는데 그것은 중국으로 가는 류큐 왕국의 조공선에 탑승해서 중국을 거쳐 조선으로 넘어가는 것이었습니다. 1802년 10월, 문순득은 중국을 향하는 배를 탈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출발한 ...


#꿈 #노력 #목표의식 #신념 #열정 #의지 #인내 #자아실현

원문링크 : 홍어 장수 문순득 표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