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이산화탄소→블루수소… 바로사 가스전, CCS 프로젝트 ‘착착’


LNG→이산화탄소→블루수소… 바로사 가스전, CCS 프로젝트 ‘착착’

다윈 LNG 터미널 내에 이산화탄소 분리 공정을 위한 탄소 포집(Carbon Capture) 설비인 흡수탑 두 개가 설치되어 있다. SK E&S 제공 “배출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2025년부터 고갈 가스전에 저장하는 겁니다.”

호주 에너지 기업 산토스의 관계자는 땀을 뻘뻘 흘리며 설명했다. 다윈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이 위치한 호주 북준주는 최고기온이 30도를 넘었다.

여기에 각종 안전 장비를 겹겹이 착용해야 했다. 약 20년 동안 운영한 터미널 곳곳에서 새로운 20년을 준비하는 공사가 한창이었다.

지난 16일(현지시간) 탄소 포집·저장(CCS) 연계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의 ‘허브’인 다윈 LNG 터미널을 찾았다. 호주 북서부 해상의 바로사 가스전에서 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다윈 LNG 터미널에서 포집한 뒤, 이 이산화탄소를 고갈 예정인 동티모르 바유운단 가스전에 저장하는 프로젝트다.

SK E&S가 산토스, 제라(일본 발전기업) 등과 손을 잡고 ...


#LNG #그린수소 #블루수소 #신재생에너지 #이산화탄소 #청정에너지 #탄소중립

원문링크 : LNG→이산화탄소→블루수소… 바로사 가스전, CCS 프로젝트 ‘착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