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에서 GPTs(나만의 GPT 만들기)를 활용하는 분들을 위한 중요한 챗봇제작 꿀팁을 알려드립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챗GPT에게 URL을 주면 열어서 읽는 것(웹 크롤링)이 아니고, 검색해서 추정하는 방식이라고 알려드렸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 블로그 링크를 줘도 본문 내용은 보지 못하고, 제목이나 일부 키워드만 유추해서 답하는 식이죠. 이건 정보 요약이라기보다 검색 결과 읽기에 가깝습니다.
결국 특정 웹페이지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는게 안되죠. 아래 포스팅에서 자세히 확인시켜 드리고 챗GPT 대화시 쉬운 해결 방법(Webpilot)과 활용팁도 알려드렸습니다.
챗GPT 사용법: 인터넷 URL 읽기 오해와 방법(웹 크롤링/GPTs 챗봇) 이제 챗GPT에는 인터넷 검색 기능에 ‘심층 리서치’ 기능까지 생기면서 웹에서 수집한 최근의 실시간 ... m.blog.naver.com 그럼 내가 만든 GPT 챗봇도 안되는 건가? GPT의 웹검색은 단지 검색일 뿐, 웹크롤링이 아닙니다~ 마찬가지...
원문링크 : 챗GPT, 나만의 GPT 만들기 꿀팁 : URL 크롤링(WebPilot API 연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