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적 유전자로 설명하는 수컷.남성의 육아 참여.


이기적 유전자로 설명하는 수컷.남성의 육아 참여.

이기적 유전자로 설명하는 수컷. 남성의 육아 참여.

이기적 유전자에 따르면 암컷과 공동으로 육아를 하는 수컷의 전략이 진화할까요, 아니면 암컷 임신 후 도망가는 수컷의 전략이 더 진화할까요? <출처> 김필산의 사이언스비치 You Tube 사실 포괄적합도를 적용할 때 어머니의 사랑 즉, 모성애는 설명할 수 없을 것 같이 느껴집니다.

왜냐면 엄마는 자기자식을 돌보는 것보다 자기 자신을 챙기는 것이 더 이득이라는 계산을 내릴 수 있습니다. 왜냐면 자신의 자식은 1/2 정도만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데에 반하여 자기 자신은 100% 유전자를 갖고 있습니다.

만약 이 계산대로 한다면 먹이가 생길 때 자식에게 안주고 자신이 먹는게 이득인가요? 네 맞아요 이득이겠죠?

그러나, 현실은 다릅니다. 어머니는 자식을 위해 먹을 것, 보살피는 시간 등 수많은 어머니들이 자식을 위해 희생하는 전략을 펼치게 됩니다.

이 모성애의 원천은 어디서 오는 건가요? 생물학자는 자식이 엄마보다 훨씬 많은 살 날이 남아 있...


#공동육아 #남성육아 #독박육아 #육아

원문링크 : 이기적 유전자로 설명하는 수컷.남성의 육아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