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은 연소가스 (fire gas), 연기(smoke), 화염 (flame) 및 열(heat) 등이 있다. 그러나 화재발생하면 연소가스와 연기는 혼합되어 확산되므로 이들은 구분없이 통칭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1.
화재시 인간행동 ① 불안감으로 인한 행동 ② 공포 (panic)로 인한 행동 2. 연소생성물의 유해성 고분자 물질 등 유기물의 구성원소는 일반적으로 탄소, 수소를 중심으로 산소, 질소를 함유하는 경우가 많고 여기에 황, 인, 할로겐 (염소, 불소, 브로민 등) 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완전연소의 경우 생성물의 수는 적으며 탄소는 탄산가스, 수소는 물, 산소는 탄산가스 및 물 등의 산화물, 질소는 질소가스, 황은 이황산가스, 인은 오산화인으로 또한 할로겐은 염화수소 등의 할로겐화수소로 된다. 그러나 불완전연소의 경우 상기 생성물 외에 다수의 산화물이나 분해생성물이 발생한다.
발생가능성이 있는 화합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시각적 유해성 ② ...
#감쇠기
#플래시오버
#프로스오버
#포스겐
#최성기
#증기운폭발
#전도
#염화수소
#연소생성물
#연소가스
#성장기
#블레비
#복사
#보일오버
#대류
#황화수소
원문링크 : 연소생성물과 특성, 열 · 연기의 유동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