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화, 폭발 - 위험물의 연소 특성


발화, 폭발 - 위험물의 연소 특성

발화 : 가연성 물질에 불이 붙는 현상을 발화, 착화 등으로 표현한다. 1. 발화의 조건 발화되기 위한 첫째 조건은 화학반응이 발열반응이어야 하며, 이와같은 충분한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화학반응이 비교적 활발하게 일어나야 하므로 외부에서 어떤 '에너지'가 가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자체 내부에서 점차 산화나 분해 반응이 일어나서 자연히 온도가 상승하여야 한다. 2.

자연발화 외부에서 점화에너지를 부여하지 않았는데도 상온에서 물질이 공기 중 화학변화를 일으켜 오랜 시간에 걸쳐 열의 축적이 발생하여 발화하는 현상이다. 가.

자연발화의 조건 ① 열의 발생 온도 : 온도가 높으면 반응속도가 증가하여 열 발생을 촉진 발열량 : 발열량이 클 수록 열의 축적이 큼 (단, 반응속도가 낮으면 열의 축적 감소) 수분 : 고온 다습한 경우 자연발화 촉진 (적당한 수분은 촉매 역할) 표면적 : 표면적이 클수록 자연발화가 용이 촉매 : 발열반응 시 정촉매에 의해 반응이 빨라짐 ② 열의 축적 열...


#박막폭굉 #폭발범위 #폭발 #폭굉 #증기폭발 #정전기 #산화열 #분해열 #발화 #혼촉발화

원문링크 : 발화, 폭발 - 위험물의 연소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