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 이론 - 위험물의 연소 특성


연소 이론 - 위험물의 연소 특성

1. 연소의 정의 연소 (Combustion)는 열과 빛을 동반하는 산화반응으로서 F2, Cl2, CO2, NO2 그리 고 산소의 존재가 없는 몇몇 다른 가스(기체) 중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금속 분 등은 CO2 중에서도 점화할 수 있다) 가. 완전 연소 더 이상 연소할 수 없는 연소생성물이 생성되는 연소를 말한다. ① 탄소 (흑연의 경우)의 연소 : C + O2 (g) → CO2 (g) ② 프로판 (C3H8)의 연소 : C3H8(g) + 5O2 (g) → 3CO2 (g) + 4H2O (ℓ) ③ 수소의 연소 나.

불안전연소 부분적인 연소, 재연소가 가능한 생성물이 발생하는 연소를 말한다. 다.

산화반응이지만 연소반응이라 할 수 없는 경우 ① 산화반응이나 발열이 나지 아니하거나 아주 미약한 발열반응인 경우 4Fe + 3O2 → 2Fe2O3 ② 산화반응이나 흡열반응인 경우 N2 + O2 → 2NO - 43.2 kcal (산화반응이지만 흡열반응식) 라. 유기화합물이 대기중...


#발화점 #점화원 #점염연소 #인화점 #예혼합연소 #연소한계 #연소점 #연소 #역화 #선화 #비화 #블루오프 #불꽃 #폭발범위

원문링크 : 연소 이론 - 위험물의 연소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