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성 오비탈 (Hybrid Orbital)


혼성 오비탈 (Hybrid Orbital)

1. 혼성 오비탈 (Hybrid Orbital) 오비탈 (orbital)이론이 정립되고 원자들이 결합하여 분자를 형성하는 이유에 대한 가장 직관적인 설명은 전자구름이 겹쳐서 공유결합을 형성한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원자 오비탈의 모형으로는 이미 알려져 있는 각종 분자의 결합형태를 설명할 수가 없었다. 예를 들면 메테인 (CH4)분자에서 C가 H와 결합할 때 2S와 2P 오비탈이 결합에 참여하는데 본래 C에 존재하는 3개의 2P 오비탈은 서로 직각이다.

따라서 이들이 C-H결합을 형성하면 결합각이 90가 되어야 하지만 실제 메테인의 결합각은 109.5으로 정사면체 구조를 이룬다. 또한 C의 2p와 H의 1s 사이의 중첩에 의한 3개의 결합과 C의 2s와 H의 1s 사이의 중첩에 의한 1개의 결합이 생기면 2p와 2s의 에너지가 엄연히 다르므로 결합길이나 에너지가 차이가 나야한다.

그러나 메테인에 존재하는 4개의 공유결합은 모두 결합길이나 에너지가 동일하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공유결합 #메테인 #배위결합 #에타인 #오비탈 #혼성오비탈 #혼성화

원문링크 : 혼성 오비탈 (Hybrid Orb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