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화수소 (Hydrocarbon)


탄화수소 (Hydrocarbon)

탄화수소(Hydrocarbon)는 탄소(C)와 수소(H)만으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을 말한다. 탄화수소의 종류 ⊙ 지방족 - 사슬형 - 포화탄화수소 - 불포화탄화수소 - 고리형 - 포화탄화수소 - 불포화탄화수소 - 방향족 ⊙ 방향족 ※ 지방족에는 알칸류, 알켄류, 알킨류, 치환족이 있다.

탄화수소의 특징 ⊙ 탄소(C) 하나에 최대 4개의 원자결합이 가능한데 다중결합으로 갈수록 결합력이 커지 고, 분자반지름은 작아진다. ⊙ 탄화수소는 분자사이의 인력이 작으므로 녹는점, 끓는 점이 낮다. ⊙ 원자 사이의 인력은 공유결합으로 강하고 안정감이 높다. ⊙ 극성 용매에는 녹지 않으며 비극성 용매에 잘 녹는다. ⊙ 연소시 이산화탄소, 물이 생성되며, 연료로 많이 쓰인다. 1. 알케인 (Alkane) ① 모두 단일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② 사슬모양이며 분자식은 CnH2n+2 으로 나타낸다. ③ 분자량이 가장 작은 것은 CH4 (메테인, 메탄)이다. ④ 탄소와 수소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 이...


#hydrocarbon #파라핀계 #탄화수소 #지방족 #올레핀계 #알켄 #알케인 #사슬형 #불포화 #방향족 #나프텐계 #고리형 #포화

원문링크 : 탄화수소 (Hydrocarb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