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방향족 화합물 가.
벤젠 벤젠 구조의 표현방법은 공명구조이론에 의한 것이다. 벤젠에는 2종류의 기여구조 (寄與構造)가 있고 그것들이 공명혼성체 (resonance hybrid)로 된다.
따라서 Kekule의 구조식은 그 한쪽만을 나타내고 있고 실제의 구조식은 π 전자가 6개의 탄소 사이에 비편재화 (delocalization)된 π결합으로 되어 있는데 보통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사용한다. 즉, 6개의 수소원자는 등가 (等價)이고 6개의 탄소 - 탄소 원자간의 거리도 각각 1.40 A 이며, σ 결합의 거리 1.54 A과 π결합의 1.33 A의 거의 중간치이다.
이 구조를 통하여 1, 2 dichlorobenzene이 1개 종류 밖에 존재하지 않는 이유도 이해된다. 나.
방향족 화합물의 명명법 ① 치환벤젠의 명명법 : 벤젠의 6개의 탄소원자가 등가이어서 1 치환 벤젠에서는 그 치환위치를 나타낼 필요가 없고 치환기의 명칭 뒤엔 'qpswps ( - benzene)'을 붙이면 된...
#공명혼성체
#카르복시산
#치환벤젠
#에테르
#에스터
#알킬기
#알코올류
#알칼리금속
#알데하이드
#벤젠
#방향족
#케톤
원문링크 : 유기화합물 - 방향족 및 지방족 화합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