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산과 염기 산 (酸, acid) : 수용액 중에서 해리하여 수소이온을 생성하고 염기(鹽基)와 중화하여 염(鹽)을 만드는 물질.
예를 들면 염화수소(HCl)을 물에 녹이면 해리하여 오늄 이온인 하이드로늄(옥소늄) 이온 H3O+ 을 생성하고 산이 되는 것을 뜻한다. 신맛의 원인이 바로 수소 이온/하이드로늄 (옥소늄) 이온이다. ⊙ 산이란 물에 용해되어 H+를 내는 화학종이다. ⊙ 산이란 수소 이온을 잃는 화학종이다. ⊙ 산이란 용매의 양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이다 ⊙ 좁은 의미로는 카복실기 있는 화합물만을 뜻하기도 한다(접미사가 -산(-acid)이다).
염기(鹽基, base)는 수용액에서 수산화 이온을 내거나 수소이온을 흡수하는 물질을 말한다. 흔히, 알칼리라고 부르며 산에 대응되는 물질로 서로 중화반응을 일으켜 염과 물을 만든다.
염기는 금속 산화물이다. 염기는 전해질이며 대체로 쓴맛이 나고, 손에 닿으면 단백질을 녹이는 성질 때문에 미끈거린다.
염기 물질은 보통 수소이온지수가 ...
#복염
#착염
#중화반응
#중성
#정염
#전해질
#이온화도
#원자가
#염기
#산화제
#산성염
#산
#환원제
원문링크 : 산과 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