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전경보기 】 1년에 1~2번 출제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 바닥 또는 천장의 전부나 일부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 재료가 아닌 재료에 철망을 넣어 만든 건물의 전기설비로 부터 누설전류를 탐지하여 경보를 발하며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된 것 ※ 실제 시공은 많이 안됨 (건축물이 내화구조로 되어 있어서) 1. 누전경보기의 구성요소 ① 영상변류기(변류기) : 누설전류를 검출한다. : 자동적으로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수신기에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② 수신기(차단기구 포함) : 누설전류를 증폭한다. ③ 음향장치 : 경보를 발한다.
[구성요소] 영상변류기(변류기) 수신부 : 수신기 음향장치 차단기 2. 집합형 수신기의 내부결선도 (5~10회로용) 3.
누전경보기 설치대상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4) 계약전류용량 (동일 건축물에 계약종별이 다른 전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그 중 최대 계약전류 용량)이 100 [A]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내화구조가 아닌...
#가연성
#변류기
#수신부
#영상변류기
#외함
#음향장치
#절연저항
#차단기
#충전부
#배선용차단기
#매칭트랜스
#동작시험
#감도전류
#경계전로
#고주파
#공칭작동전류
#내부결선도
#누설전류
#누전경보기
#도통시험
#화약류
원문링크 : 누전경보기 : 암기편 -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