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상방송설비 】 - 1년에 한번 이상 출제 자동화재탐지설비 또는 소화설비에 의해서 감지된 화재를 신속하게 해당 특정소방대상 물에 있는 사람에게 방송으로 화재를 알려 피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설비 ※ 비상방송설비가 설치된 곳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설치되어 있어 화재시 비상방송과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종이 함께 울리게 된다. [계통도] 1.
비상방송설비의 구성요소 ① 확성기 ② 음량조정기 ③ 증폭기 ④ 조작부 ⑤ 기동장치 ※ 2번 시험에 나옴 2. 비상방송설비의 설치대상 설 치 대 상 설 치 조 건 ⊙ 연면적 3,500 이상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 ⊙ 지하층의 층수가 3개층 이상 전부해당 ※ 비상경보 설치되어 있으면 연면적 3,500 [] 이상 3.
경보방식 ① 일제경보방식 : 화재로 인한 경보발령시 전 층에 경보를 발하는 방식 ② 우선경보방식 : 층수가 11층 (공통주택은 16층)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 구 분 경보층 2층 이상 발화 발화층 + 직상 4개층 1층 발...
#기동장치
#지하층
#증폭기
#조작부
#절연저항
#임피던스매칭
#임피던스
#음향장치
#음량조정기
#우선경보방식
#스피커
#비상방송설비
#발화층
#확성기
원문링크 : 비상방송설비 : 암기편 : 소방설비기사 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