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색채


한국의 전통색채

한국의 전통색채 우리 미족의 색체체계는 시각적 체험의 결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음양오행사상에 바탕을 둔 관념적인 것이다. 이와같이 색채를 의미와 상징의 수단으로 이용했던 우리 민족은 색채사용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제약이 많았다.

계급에 따라 복색에 대한 금기사항이 많아 서민들은 모두 백색으로 입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혼례와 같은 특별한 행사시에는 주술적인 색채관으로 전통 오방색을 사용하게 되었다.

음양오행사상의 색채체계는 동서남북 및 붕안의 오방으로 이루어지며 이 오방에는 각 방위에 해당하는 정색이 있다. 이 정색은 청, 적, 황, 백, 흑이며 이를 오방색이라 부른다.

또 정색과 정색사이에 간색이 있는데 홍색, 녹색, 벽색, 자색, 유황색이 그것이다. 우리의 전통 기본색이란 이들 5가지 정색과 5가지 간색을 합한 10가지 색을 말한다.

구분 木 火 土 金 水 五正色(陽) Blue F Red Yellow White Black 五間色(陰) Green #FF8080 Olive #8...



원문링크 : 한국의 전통색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