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여 년간의 깜깜이 계란 산지가격 고시 폐지, 표준거래계약 방식 등 가격 결정구조 투명화


60여 년간의 깜깜이 계란 산지가격 고시 폐지, 표준거래계약 방식 등 가격 결정구조 투명화

60여 년간의 깜깜이 계란 산지가격 고시 폐지, 표준거래계약 방식 등 가격 결정구조 투명화 2024.07.31 농림축산식품부 60여 년간의 깜깜이 계란 산지가격 고시 폐지, 표준거래계약 방식 등 가격 결정구조 투명화 - 표준거래계약서를 통한 거래 도입, 후장기 할인(D/C) 대금 결제 방식 폐지 - 생산자단체의 희망가격 고시 방식을 축산물품질평가원 조사・발표로 점진적 대체 - 계란 수급 및 가격 관측을 고도화하여 선제적인 생산관리 추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60여 년간 지속해 오던 계란 산지가격 조사 체계와 깜깜이 거래 관행을 개선한다고 밝혔다. 생산자단체는 1960년대부터 계란 산지가격을 고시(이하 가격고시)해 왔는데 이는 농가와 유통상인 간에 실제 거래된 가격이 아닌 미리 거래 희망가격(일종의 협상 기준가격)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그간 생산자단체는 유통상인에 비해 협상력이 약한 생산 농가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명분으로 이러한 가격고시 방식을 계속해...


#60여 #폐지 #투명화 #산지가격 #방식 #등 #년간의 #깜깜이 #고시 #계란 #결정구조 #가격 #표준거래계약

원문링크 : 60여 년간의 깜깜이 계란 산지가격 고시 폐지, 표준거래계약 방식 등 가격 결정구조 투명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