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토문화전자대전 연기 봉산동 향나무 [ 燕岐鳳山洞- ]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보호수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건너말고샅길 9-1[봉산리 128외 1] 시대 현대/현대 보호수 지정 일시 1982년 11월 09일 보호수 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제321호 출처 디지털세종시문화대전-연기 봉산동 향나무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향나무. 개설 연기 봉산동 향나무는 조선 중종 때 최완이 봉산동 지역에 정착한 뒤 숨지자, 최완의 아들 최중룡(崔重龍)이 서울에서 내려와 시묘살이를 하고 효성을 후손에게 보이기 위하여 심었다고 전하여진다.
향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정원수 등으로 널리 심어져 왔으며 향의 원료나 가구의 원료 등으로 쓰여 왔다. 향나무는 햇빛을 좋아하고 산성·알칼리성·석회암 위·건조기 등 어디에서나 잘 자란다.
연기 봉산동 향나무는 강화최씨의 집성촌에서 관리되어온 나무로 위로 키는 크지 못하였으나 밑동 부분이 여러 갈래로 갈라져 서로 용...
원문링크 : 세종시 조치원읍 봉산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연기 봉산동 향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