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 맞춤법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주요 원칙과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곘습니다. 아름다운 우리말 한글을 쓸 때 참고하세요~ 1.
띄어쓰기 ⦁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 예: 할 수 있다, 갈 데가 없다. ⦁ 조사는 붙여 쓴다. - 예: 책을 읽는다, 나도 간다. ⦁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 예: 3개, 10분, 20킬로미터. ⦁ 수와 단위를 이루는 경우, 붙여 쓰기도 가능하다. - 예: 10kg(열킬로그램). 2. 된소리 표기 ⦁ 한자어에서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다. - 예: 학교(), 압력(), 숙제(). ⦁ 고유어나 외래어에서는 된소리를 인정한다. - 예: 빵(), 껌(). 3.
붙임표(-) 사용 ⦁ 접두사나 접미사로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때 붙임표를 쓴다. - 예: 준-말, 3-4학년, 2024-2025학년도. 4. 맞춤법 ➊ 1 받침 ‘ㄹ’ 뒤에서의 처리 ⦁ ‘ㄹ’ 받침 뒤에서 ‘ㄴ,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되지만, 표기에는 반영하지 않는다. - 예: 할...
#맞춤법
원문링크 : 한글 맞춤법에 대한 주요 원칙과 자세한 내용